라벨이 GitHub인 게시물 표시

[Git, GitHub] git, GitHub의 차이점

이미지
git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git과 GitHub의 차이점을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정의에 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git과 GitHub는 연관되어있습니다. git 컴퓨터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모든 파일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누가 언제 업로드를 했고 수정하였는지 타임 라인을 기록하고 보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나의 파일에 서로 다른 버전을 보관 가능하며, 하나의 파일을 가지고 여러 명이 함께 작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를 진행 중 클라이언트 측의 새로운 요구 사항이 생겨 수정하여 적용 하였지만, 클라이언트 측에서 다시 초기 버전으로 진행했으면 좋겠다고 했을 때, 파일을 찾아서 다시 적용하기가 번거로울 수 있는 것을 git를 사용한다면 손쉽게 초기 버전을 찾아 다시 적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git을 위한 다양한 웹 인터페이스가 있습니다. GitHub도 그 중 하나입니다. GitHub GitHub는 분산 버전 관리 툴인 깃(git)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이며, git을 이용하여 저장소를 서비스하는 사이트(대표적으로 GitHub, GitLab, Bitbucket등) 중 하나 입니다. git의 기록을 GitHub 클라우드에 올려 변화의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git history을 가져와서 GitHub 웹사이트에 올리고 협업하는 사람들과 업데이트된 내용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git 데이터를 온라인에 저장해주는 사이트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GitHub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 공유 사이트로도 유명합니다.

[GitHub] 깃허브 페이지 설정 및 사용법 - GitHub page Web hosting

이미지
GitHub page 설정 방법과 사용법에 관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포트폴리오를 만들기 위해 무료 웹 호스팅 사이트를 찾던 중 GitHub에서 제공하는 GitHub page를 알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다른 웹 호스팅 사이트들에 비해 접근하기도 쉽다고 생각하여 다른 분들에게도 설정 방법과 사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GitHub(깃허브) 설정 및 사용법 https://github.com/ 1. 위 링크에 접속 후 회원가입  Sign up for GitHub 2. Repository name에 프로젝트 이름 작성 공개여부 설정 Public(공개), Private(비공개)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 체크 3. Setting -> GitHub Pages의 Source를 master branch로 설정 *Your site is publiched at https://Username.github.io/Repository 설정한 이름 위 주소는 배포되는 도메인 주소입니다.    4. Upload files 클릭 후  Choose your files 클릭 -> 업로드할 파일 선택 Commit changes 클릭 5. Code에 업로드한 파일 확인 6. 3번의 본인 도메인 주소에 배포되었는지 확인 *폴더로 업로드하고 싶은 경우 Create new file에 들어가서  Repository 설정한 이름 /Name your file(ex:CSS)/file name(ex:style.css) Edit new file에 내용 작성 후 Commit new file를 누르면 폴더가 생성됩니다.